일시적2주택3 양도소득세에 대한 단상 (주택)양도소득세는 주택- 양도소득에 대하여 과세되는 것이고, 양도소득이 없으면 과세되는 세금도 없는 것입니다. 과세대상 세금이 없다면 신고의무도 없습니다. 1주택자가 보유기간 2년 이상이면 일반세율(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계산하고, 보유기간이 2년보다 작다면 단기세율, 주택수가 많다면 중과세율(현재는 적용유예 중)을 적용합니다. 보유기간이 작으면 단기세율을 적용하지만, 보유기간이 길다면 장기보유공제를 통하여 양도소득을 줄일 수 있습니다. 1세대 1주택(또는 조건에 따른 일시적 2주택, 주택과 조합원 (또는 21년 1월 1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의 경우, 1세대 1주택 조건을 적용하여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매도금액이 12억 초과이면, 양도차익 중 12억 초과부분에 대해서는 양도.. 2024. 6. 8. 종합부동산세에서 1세대의 구분과 기본공제액의 적용 안녕하세요. 리겔입니다. 오늘은 종합부동산세를 계산할 때 1세대의 의미와 기본공제액을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종합부동산세의 계산방법은 이전글을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2023.08.14 - [부동산 투자] - 종합부동산세의 계산방법, 세율, 납부시기, 납부기한 연장, 종합부동산세의 계산방법, 세율, 납부시기, 납부기한 연장, 안녕하세요. 리겔입니다. 오늘은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의 계산방법과 세율 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종합부동산세의 계산방법 2. 종합부동산세의 세율 3. 납부할 종합부동산 rigeltax.tistory.com 종합부동산세에서 1세대 1주택의 혜택 종합부동산세에서는 1세대 1주택자가 단독명의로 1주택만을 소유한 경우에는 공시가격 금액에서 .. 2023. 8. 30. 월간양도소득세-3) 2주택이상 보유한 세대가 1주택외의 주택을 모두 양도한 후 1주택 양도 시 보유기간 계산은?(최종 1주택)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5월 9일까지(규제기간) 존재했던 규정으로 많은 세무사, 회계사분들을 양도소득세를 포기하게 만들었던 규정입니다. 시행령 규정과 함께 내용을 살펴 보겠습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 154조 ⑤ 제1항에 따른 보유기간의 계산은 법 제95조제4항에 따른다. 다만, 2주택 이상(제155조, 제155조의2 및 제156조의2 및 제156조의3에 따라 일시적으로 2주택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2주택은 제외하되, 2주택 이상을 보유한 1세대가 1주택 외의 주택을 모두 처분[양도, 증여 및 용도변경(「건축법」 제19조에 따른 용도변경을 말하며, 주거용으로 사용하던 오피스텔을 업무용 건물로 사실상 용도변경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한 후 신규주택을 취득.. 2023. 7. 3. 이전 1 다음